카테고리 없음

가본 데서 배운다 : 말뫼, 스웨덴

요술공주 셀리 2023. 7. 25. 10:09

어쩌다 마을 16

 

조선업계의 쇠락으로 세계 최대의 조선소 코쿰스 크레인을 2002년 한국의 현대중공업에 단돈 1달러에 팔면서 눈물을 흘렸다는 이른바 말뫼의 눈물로 유명한 도시다. 조선업을 과감히 포기하고 지금은 환경도시로 탈바꿈하여 세계적 관광지가 되어 다시 유명해졌다. 도시 전체의 마스터플랜에 의해서 환경적 도시가 되어 가고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브라질의 꾸리찌바와 함께 도시계획에서 꼭 참고할만한 도시다.

 

1. 개관 

말뫼 시의 특성

- 역사적 특성: 역사적으로 덴마크와 스웨덴 사이에서 영유권이 계속 바뀌어 온 섬으로 현재는 스웨덴 영토다.

- 인구 특성: 도시 인구의 연령이 매우 젊다. 평균 연령이 여자는 29, 남자는 30세로 29.5세다.

- 성장하고 있는 도시

스웨덴의 3번째로 큰 도시

29년 동안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도시

2013년 인구 5200명 증가

318천 명이 넘는 인구의 반 이상이 35세 이하이고 18세 이하의 인구가 20% .

말뫼시의 인구는 202135만 명, 2025375천 명이 넘을 것으로 예상됨.

- 국제적 교류 도시

시인구의 31%가 외국인

177개국의 사람들이 거주

150개 이상의 언어 사용

14천 명 학생이 50개의 다른 언어로 모국어를 배우도록 함: 스웨덴은 학생이 요구할 시 모든 학생이 자신이 원하는 모국어로 공부할 수 있도록 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 100% 재생에너지 도시

말뫼 시도 스웨덴의 기후적응 도시를 목표로 함.

2020년에 말뫼시의 조직은 기후 중립국, 2030년에는 100% 재생에너지로 공급받을 것임.

- 지속 가능한 도시개발

hyllie : 지속 가능한 도시개발의 글로벌 모델

환경도시 Augustenborg :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으로 지속 가능한 주거지역

Vӓstra Hamnen : 밀집 도시의 친환경 개발

2006년 이후 공정거래 도시

말뫼는 2014~2019년 동안에 해마다 약 1000가구의 새집을 지을 것이다.

- 자전거 도시

2013년 말뫼는 환경 자치시이다.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자전거 도시

470km의 자전거 전용도로가 있으며 2배로 늘릴 예정이다.

6만 개의 자전거 거치대

자전거가 곧 교통수단이다.

 

2. 생태 프로그램 

* 말뫼 시청의 주요 프로젝트

- 지속 가능한 먹거리 제공 및 환경유지를 위한 과제 추진

- EAT S.M.R.T 전략 추진

- 지속 가능한 경제활성

* 말뫼 시청의 생태마을 구축 전략

-말뫼시는 친환경 도시재생정책으로 시청-대학-산업체가 협력하여 신재생에너지 도시 정책 추진

 

*말뫼 에코시티의 친환경적 정책 특징

1) 말뫼 에코시티에는 녹색공간 요소들을 꼭 포함하도록 하고 있음. 말뫼 에코마을의 포장도로 개발 시 녹색공간 요소로 50% 이상 남겨두어야 하며 말뫼 에코시티의 주거지는 25%의 태양열 지붕, 25%는 녹색지붕, 정원 공간, 25%는 투과성 자갈이 있는 녹색 공간 포함되어야 함.

2) 녹색 포인트 시스템(Green points system)

-모든 주거지에는 35개의 녹색 포인트 시스템이 있는데 이중에 10개 이상의 녹색 포인트 시스템을 갖춰야 함.

-35개 녹색 포인트 시스템의 예를 들면, 모든 아파트에 새장이 있어야 하며 새장이 있어서 특정 곤충들이 살아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함

-정원 안에는 야채 재배가 가능한 토양 깊이와 토양을 가지고 있어야 함

-가능한 모든 벽은 식물이 올라갈 수 있는 벽이어야 함

-모든 정원은 54 스퀘어의 온실이 갖추어져 있어야 함

3) 빗물 배수장치

-왜리순 해협이 에코시티 근처에 있어서 에코시티의 녹색 지방과 자갈로 인한 침투를 통해 바닷물과 빗물을 순환시키는 중력 흐름 시스템을 통해서 빗물 배수장치가 이루어짐

4) 음식물 쓰레기

-유기농 주방 쓰레기는 지하 저장고에 모아 소화전으로 보내지며 박테리아에 의한 이중처리를 통해 바이오가스를 생성하고 전력으로 공급됨

-재활용 음식물 쓰레기는 수거 파이프를 통해 공장으로 보내져 버스나 트럭 등에 쓸 수 있는 친환경 바이오 가스로 만들어짐

5) 말뫼 시는 자체적으로 생산하는 풍력과 지열 등 신재생 에너지로 냉난방과 전력을 100% 해결함

* 말뫼 시청과 지역교육기관 협력체계

-말뫼 시청에서 지역교육기관 사이에는 여러 개의 시민협의체와 교육협의체가 있어서 교육문제를 협의하고 있음.

-말뫼 시청은 지역교육기관의 협의체의 안건을 바탕으로 하여 교육재정 및 교육정책 지원하고 있음

* 말뫼시의 지속 가능한 경제교육

-말뫼 시는 유기농 제품 섭취를 통해 음식쓰레기 감소를 유도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 추진하고 있음.

-모든 학교의 급식 정책에는 97%의 유기농 식재료 공급 추진

-도시농장 활성화, 음식쓰레기 감소, 채소 섭취 증가 등 식품 구매 변화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 감소하고 있음

-카페, 음식점, 가게 등에서의 지속 가능한 제품 사용하고 있음

*말뫼시의 EAT S.M.A.R.T. 정책

-말뫼시는 학생들의 건강한 식생활 실천으로 지속 가능한 환경보호 정책 추진하고 있음

-S: Smaller amount of meat (육류 소비 감소)

-M: Minimise intake of junk food(영양가 없는 음식 섭취의 최소화)

-A: A increase in organic(유기농 음식 식품 섭취 증가)

-R: Right sort of vegetables & meat)(적절한 채소와 육류 섭취)

-T: Transport efficient(제출 농산물 이용하고 포장, 거리, 차량의 최소화)

 

3. 벤치마킹과 발전방안

-말뫼 시청은 교육기관에 색다른 환경교육을 시키지 않음. 생활 자체 내에서 환경 보호를 익힐 수 있으며 식생활등을 통해 지속 가능한 친환경교육 정책 추진하고 있음. 말뫼 시청은 환경교육이라는 과목이 있으면 반드시 환경을 배워야 하기 때문에 학생들이 흥미를 잃는다고 해서 스웨덴에서는 환경교육과목으로 해서 따로 시키지 않는다고 함

- 말뫼 에코시티의 정책 추진 계획에 주도적인 역할을 한 것이 시청-대학-지역산업체의 “creative dialogue"가 핵심적인 주요 역할이었다고 함. 시청-대학-지역산업체의 협력과 소통의 방법을 위한 지속적인 대화가 주요한 역할을 하였다고 함. 지자체의 각 부서 간, 학교공동체 간의 끊임없는 대화의 창을 만드는 것이 매우 중요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