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0년대부터 1970년대에 국내에서 제작된 기하학적 추상미술의 역사를 조망하는 전시 이 16일(목)부터 내년 5월 19일(일)까지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에서 열립니다. 기하학적 추상미술은 점과 선, 원과 사각형 등 단순하고 기하학적인 형태, 원색의 색채, 화면의 평면성을 강조하는 회화의 한 경향입니다. 서구에서는 몬드리안, 칸딘스키, 말레비치와 같은 작가들의 작업을 통해 기하학적 추상미술이 각광 받았고, 20세기 내내 현대미술의 주요한 경향으로 여겨졌습니다. 국내에서도 기하학적 추상은 1920~30년대에 등장해 1960~70년대에는 전방위적으로 확산하는 등 한국 미술사의 주요 변곡점마다 각기 다른 양상으로 존재해왔습니다. 하지만 장식적인 미술 또는 한국적이지는 않은 추상으로 인식되며 앵포르멜이나 단색화..

기하학적 추상미술은 기하학적 형태, 원색의 색채, 화면의 평면성을 강조하는 회화의 한 경향이다. 서구에서는 피에트 몬드리안(Piet Mondrian), 바실리 칸딘스키(Wassily Kandinsky), 카지미르 말레비치(Kazimir Malevich)의 작업을 통해 기하학적 추상이 처음 등장했고, 20세기 내내 현대미술의 주요한 경향으로 여겨졌다. 국내에서도 기하학적 추상은 1920~30년대에 처음 등장해 한국 미술사의 주요 변곡점마다 각기 다른 양상으로 존재해 왔고, 1960년대 말부터 1970년대 중엽까지는 기하학적 추상의 시기로 불릴 만큼 이러한 경향이 확산하기도 했다. 이에 비해 기하학적 추상에 대해서는 장식적인 미술이라거나 한국적인 정서와는 거리가 먼 예술이라는 평가가 늘 뒤따랐고, 그로 인해..

고 이기원 화백의 작품 4점이 과천 국립현대미술관에서 11월에 열리는 '한국의 기하학적 추상미술' 전시회에 출품된다. '한국의 기하학적 추상미술' 전시회는 한국미술사에서 독자적인 이론이나 미술운동이 지속되지 못한 것으로 평가받는 '기하학적 추상미술'의 경향을 재조명하기 위함이라고 한다. 전시회에 출품되는 작품들은 주로 1930-70년대에 제작된 한국의 기하학적 추상미술 작품들이다. 국립현대미술관에서 기획, 전시하는 '한국의 기하학적 추상미술' 전시회는 국내에서 전개된 기하학적 추상미술의 역사와 동 시대성을 함께 살펴보는 전시를 통해, 기하학적 추상미술의 한국적 독자성과 보편성을 모색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한다. 당대 최고의 40여명의 작가들이 개성 넘치는 작품 약 200여점을 출품하는데, 한국 추상미술..
'충북문화재단'(충청북도 청주 소재)은 서울 인사동에 '서울 충북갤러리'를 개관한다. 개관 기념으로 '충북출신 작가 8명을 초대하여 특별전시회를 개최'한다. ◈ 전시회 개요 1. 전시제목 : 충북근현대미술의 시원(始原) * 충북미술의 여명기부터 한국 근현대미술의 미술사적 표본 가치가 있는 충북출신 작가 2. 전시기간 : ’23. 5. 10.(수) ~ 5. 28.(일) 개막식 : 5.10. 14:00 3. 전시장소 : 서울, 인사아트센터 2층 인사동길 41-1(서울 충북갤러리) 4. 참여작가 : 안승각, 박석호, 임직순, 정찹섭, 이기원, 윤형근, 안영일, 하동철 등(8명) 5. 전시 구성 1) Part1 : 충북 서양미술의 원형(안승각, 박석호, 임직순) - 서양미술을 충북화단에 이식과 초석을 다지는 시..